목록오늘의 생각정리/일기 (13)
JAMONGPROJECT
내가 1년간 자기계발에 몰두하면서 깨달은 사실이 몇가지 있는데 오늘은 디테일에 대해서 자기 고찰하는 글을 써볼까 한다. 나는 살아가면서 거창하고 대단한 일을 하고싶어했다. 큰 꿈을 가지고 살아야 하고 돈도 많이 벌었으면 좋겠고 좋은 연인을 만나서 행복하게 살고싶고 그래서 열심히 노력해야지 하고 달리면 다 잘될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건 내 큰 착각이었다. 그런 생각은 메타인지가 부족한 것이었다. 나는 학창시절에 공부를 잘하는 편이었다. 그 때 다른 아이들과 내 성적을 가르는 한 끗 차이가 바로 디테일의 차이였다. 다른 아이들은 자기가 늘 하던대로 관성에 맡기고 공부를 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전혀 없었다. 그러니 새로운 것을 배워도 항상 자기가 받는 점수만 받았다. 나는 화학2 과목을 ..
오늘도 귀에 이어폰 꽂고 열심히 유튜브 좋은 강의들을 듣던 중 기묘한 알고리즘에 이끌려 끌어당김의 법칙에 대한 영상을 보게 됐다. 나는 론다 번의 시크릿이라는 책을 2007년에 읽었었다. 중3의 나에게 시크릿은 굉장히 불쾌한 책이었다. '아니 사람이 노력을 해야지 무슨 허구헌날 바라기만 하고있으면 누가 떠먹여주냐?' 딱 이생각이었다. 그런데 같은 시간이 흐르고 32살의 나에게 다시 끌어당김의 법칙의 알고리즘이 찾아왔다. 도대체 무슨 헛소리를 할까싶어 영상을 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논리구조에 오류도 없고, 내가 겪었던 내용들도 다수 있어서 어릴 적 내가 읽었던 시크릿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다. 요즘 느낀게, 지혜와 지식이 증가할수록 인지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지면서 책을 읽다가 소위 와닿는다. 혹은..
오늘 아침에 알고리즘이 날 이 영상으로 이끌었는데 햇볕 잘 드는 곳에서 요거트만 퍼먹으면 인생이 해결된다는 재밌는 썸네일로 시작해서 영상을 끝까지 보고나니 현타가 왔다. 요즘 뇌과학 책을 정말 열심히 읽고 관련 강의도 참 많이 들었는데 그런 배움에서 깨달은 내용이 이 영상 하나에 담겨있었다. 내 시간을 들여서 배운 내용이 고작 10분 영상으로 끝나다니.. 이 생각이 들면서 독서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다. 꼭 독서를 해야하나? 이런 화두로 시작한 고민에 대한 결과를 이 글로 정리해볼까 한다. 독서를 꼭 해야하나? 결론은 해야하긴 한다. 요즘은 유튜브에 정말 좋은 강의가 많다. 사실 정보 전달은 강의만 들어도 충분한 것 같다.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강의의 정보 전달 외적인 부분에 있다. 1. 강의의 일방적..
요즘 최적화라는 단어로 나의 철학을 정리해나가고있다. 오늘은 유난히 컨디션도 안좋고 무슨 일을 해도 흥이 안나는 날이었다. 이유를 생각해보니 오늘따라 기분이 안좋았다. 기분이 안좋은 이유는 1. 잠을 잘 못자서 피곤하고 2. 구내염이 생겨서 말을 할때마다 짜증이 나서였다. 부정적인 감정이 드는 것을 느끼면서 감정의 영향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1. 명상으로 얻은 감정에 관련한 변화 명상을 시작한지 3일차 상당히 많은 것이 변화했다. 1) 일단 머릿속을 휘젓던 생각들의 속도가 많이 줄었다. 잔잔한 바다 위에 떠다니는 것처럼 생각들이 고요하게 움직인다. 그 중 하나를 잡으려하면 잡을 수 있는 경우가 많이 늘어났다. 생각이 내 통제하에 있는 느낌이다. 원하는 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점점 증가하는 느낌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최적화였다. 이십대 중반부터 방향을 잃은 채 부유하던 내 삶은 서른 둘이라는 나이에 도달해서야 올바르게 스타트라인에 서게 됐다. 긴 시간을 허비했지만 이정도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내 삶은 이제 발전할 일만 남았기 때문이다. 내가 이렇게 확신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이십대 중반에 의미없는 인간관계를 정리한 것. (인간관계 최적화 1) 2. 서른살부터 운동을 시작한 것 (신체의 최적화) 3. 코딩 공부를 시작하며 최적화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한 것 4.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나의 성격을 잘 알게된 것 (정신적 최적화) 5. 가족으로부터 독립해 혼자 살며 나에 대해 더 잘 깨닫게 된 것 (인간관계 최적화 2) 6. 인테리어 깔끔하게 하기, 청소 깔끔하게 하기, 계획 세워서 ..
이거 진짜 팩트임. 어릴 적에 책 많이읽었었는데 공부 안해도 고등학교 내내 국어 1등급 놓쳐본 적 없음. 나는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굉장히 빠른 발전이 일어났다. 그런데 주변에 '책 무조건 읽어야한다' 라고 말해도 와닿지않기 때문에 어떻게 그 사실을 전달할지를 고민을 많이했다. 이 영상도 그런 부분을 전달해줄 수 있는 좋은 영상인 것 같다. 나는 어릴적부터 책을 좋아하는 엄마를 따라서 책을 정말 많이 읽었다. 그래서 고등학교 3년 내내 이유는 모르겠지만 국어 모의고사는 항상 1등급이었다. 그리고 공부도 남들보다 훨씬 쉽고 빠르게 성적을 올렸었다. 그 이유가 명백하게 밝혀진 게 오늘 저 영상을 보고나서였다. 내가 무슨 어려운 책을 읽은 것도 아니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책이 만화책이랑 판타지소설이었고 지식..
어제 오랜 친구들과 책에 대한 주제로 대화를 했다. 나는 근 1년간 독서로 많은 변화를 겪었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하루 24시간 동안 부정적인 기분을 거의 못느낀다. 내 삶에 너무 만족하며 계속 성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그 이유가 책을 읽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정확히 말하면 지식만능주의가 생겼다고 하고싶다. 작년 2월 쯤 MBTI를 알게되고 심리학에 큰 호기심이 생겨 몇 달 동안 닥치는대로 심리학 관련 지식들을 섭렵했다. 그 뒤로는 지식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생겨서 내가 평소에 잘 모르는 부분은 모두 책과 강의를 통해서 배웠다. 그리고 1년이 지난 지금은 나 자신이 몰라보게 변했다는 게 느껴진다. 매일 꾸준히 자기관리를 하고 무슨 일이든 재미있게 할 수 있게 됐고 부정적인 감정을 ..
요즘 너무 많은 지식들을 머릿속에 집어넣다보니 머릿속에서 온갖 정보들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날아다니고 있다. 머리도 지끈지끈하다. 생각나는 대로 정리해보자. 1. 목표 설정 내 목표는 돈을 많이 벌어서 선택과 시간의 자유를 얻는 것이다. 당장은 시간을 팔아 수입 문제는 해결이 됐고 먼저 종잣돈을 모아야한다. 종잣돈 모으는 과정은 시간이 해결해 줄거라 당장 걱정할 필요없음. 목표는 매일 독서와 일기쓰기 이것도 내가 좋아하는 일이기도 하고 단지 필요성을 좀 더 크게 느꼈을 뿐이므로 평소대로 하면 좋을것 같다. 목표 설정은 좋다. 2. 돈 요즘 너무 돈돈돈 하는것같다. 그런데 이것도 일종의 클루지같다. 돈돈돈 하는게 뭐 어때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기준인데 조금 더 솔직해지도록 노력하자. 돈을 많이 버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