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hallenge/엘리스 SW Engineer 2기 (43)
JAMONGPROJECT

css selector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element를 찾는다. div span같은 경우는 element가 많기 때문에 배제하는 쪽으로 가는 것이 좋다. 렌더링을 가장 느리게하는 주범 -> font, image ! 이것들을 개선하는 방식을 생각해보자
4월 초에 시작했던 부트캠프가 순식간에 끝이 났다. 긴 말 없이 장점, 단점을 나열해보자면 장점 1. 매일 12시간 넘게 공부하다보니 개발자로써 공부하는 습관이 잡혔다. 2. 개발자로써의 마인드셋을 쌓을 수 있었다. 3. 수업 외의 스터디가 의외로 도움이 많이 됐다. 4. 업계 정보를 정말 많이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현업 코치님들과의 오피스아워는 정말 가치있었다. 5. 팀프로젝트를 하며 정말 많이 성장할 수 있었다. 단점 1. 홍보에 비해 내실이 부족했다. (생활코딩 이고잉님 강의 있다고했는데 한번도 못들음. 장소 제공도 없었음) 2. 튜터님들 강의력 이슈가 좀 있었다.. 혼자 찾아보고 공부하는게 나을 정도여서 후반엔 시간만 채우고 개인공부로 때움 3. 용두사미식 운영이 아쉬웠다. 아직 시스템을 잡아가..
Q : map으로 생성된 component에 state 물려주기 A : Lifting state up 개념 숙지하기 https://reactjs.org/docs/lifting-state-up.html#gatsby-focus-wrapper Lifting State Up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reactjs.org https://blog.logrocket.com/solving-prop-drilling-react-apps/ A better way of solving prop drilling in React apps - LogRocket Blog In the spirit of "using the platform," learn how..
1. 코드리뷰를 받는다는 것 => 마스터 브랜치에 내 코드가 들어갈 수 있게 검증받는 작업. 진지하게 임해야한다. commit push stash rebase merge 만 잘 알아도 충분하다. 2. 스타일시트 연습을 많이 해보자! 티스토리에서 pug를 지원해서 스타일시트 스킨 한장에 4만5천원에 파셨다고 한다.. 3.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하나의 책임을 져야한다! ex ) input이 radio, text, checkbox 등으로 변하는 컴포넌트는 책임이 너무 많아서 성능적으로 좋지않다. 4.const pxToRem = () => {} px을 rem으로 고쳐주는 함수를 작성하여 쓰자. https://nekocalc.com/px-to-rem-converter 5. if문 많이써야하면 경우의 수가..
1. react에서는 label for 구문을 쓰려면 for 대신 htmlFor를 사용해야한다. 2. onclick={setState(state)} 로 바로 사용하면 무한 로딩이뜬다. 반드시 {()=>setState(state)}로 사용하자. 3. event.target은 event를 시행한 대상이 반환되고, event.currentTarget은 event를 시행한 대상의 부모 요소가 반환된다. # 오피스아워 좋은 질문을 하는 주니어 개발자 -> 찾아볼 부분을 다 찾아보고 단서들을 가져와서 질문하는 개발자. 포트폴리오에 너무 목 맬 필요가 없다 -> 하나밖에 없더라도 코드의 깊이가 있으면 된다. => 그래서 이론 공부의 깊이를 더하는 것이 중요하다. Q : 교육이 끝나고 어떤식으로 취업준비하는게 좋을지 ..
이번 프로젝트는 기획부터 배포까지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야하는 프로젝트다. 그래서 총 3주 기간동안 기획에 이틀 반을 쓰고 상당히 구체화된 레이아웃을 가지고 출발했다. 기획을 디테일하게 하니 기능구현에서 크게 어려움이 느껴지진 않는 것 같다. 지도는 카카오 맵 API로 구현하기로 했다. 당장 지도만 구현했는데 내 손에서 이런게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다. 이제 디테일한 기능들도 구현해내서 좋은 페이지를 만들고싶다.
2차 프로젝트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완전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1차때와는 다르게 프로젝트의 제한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사전에 클론 코딩을 통해서 다양한 툴들을 익혀보고자 한다. 시작부터 material ui를 사용하는 것을 배우게 됐는데, 아이콘을 바로 불러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error catch & 배운점 1. mui (material ui) import 중에 버전이 맞지 않아서 regacy option으로 import를 했는데, 기존의 클론코딩 강의의 버전과 맞지 않았다. 라이브러리 이름까지 달라서 새로 mui 공홈에서 찾아서 import함 1-1. mui에는 icon도 import가 가능해서 굉장히 편리하다. 프로젝트때도 적용해보자 (ex: 이런 식으로 컴포넌트처럼 ..
useRef : useState로 상태 변화를 처리하면 리렌더링이 일어난다. 리렌더링이 일어나지 않게 상태 변화를 하기 위해 useRef를 사용한다. useEffect : 비동기로 처리하고 싶은 작업을 useEffect 안쪽에 넣어서 처리한다. useContext : prop drilling (prop을 계속 하위 컴포넌트에 내리면서 독립성을 떨어뜨리는 현상) 을 방지하기 위해 전역에서 상태를 선언하고 사용할때 쓴다. useState : 단순한 상태 변화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