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26)
JAMONGPROJECT

Rest API와 Flask 1 Rest api API란? 개인적으로 사전적 정의는 너무 모호하게 표현해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로 내가 사용해보고 느낀 것을 바탕으로 정의해봤다. API란 어플리케이션(기능을 가진 제작물) 간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론 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어플과 B어플이 있으면 A와 B가 어떤 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지 합의한 규칙이다. 파이썬에서 클래스, 함수 같은 것도 컴퓨터와 파이썬이라는 언어 간에 정보 전달을 하기위해 정해진 규칙이다. 이런 식으로 모든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내가 예전에 API 정의를 찾아본다고 온갖 문서들을 다 찾아봤는데 하나도 제대로 와닿는 설명이 없었다. 다들 설명을 좀 못하는 것 같다.. Rest API란? Rest(Repre..

2 pandas에 대해 pandas Numpy 기반으로 개발된 데이터 분석도구. pandas.Series는 1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데 효과적이고, pandas.DataFrame은 2차원 데이터를 다루는데 유용. import pandas as pd pd.Series([1,2,3,4]) pd.DataFrame([[1,2,3,4],[5,6,7,8]],columns=[‘col1’,’col2’,’col3’,’col4’]) DataFrame pandas는 주로 Series보다 DataFrame을 많이 쓴다. 리스트 형식으로 생성할 수도 있지만 dictionary로부터 생성할 수도 있다. import pandas as pd pd.DataFrame({'col1':[1,2,3,4],'col2':[5,6,7,8]}) va..
요즘 뇌과학분야 책들을 독파하려고 도서관에서 여러 책들을 빌리는데 그 중에 하드커버로 예쁜 표지로 만들어진 책이 있었다. 제목은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뇌과학 분야 책들은 읽기가 쉽지 않아서 한문장 한문장 곱씹어야하다보니 읽는 속도가 더딘데 이 책은 상당히 쉽게 쓰여지고 최근에 나온 책이라 읽기가 좋았다. 예전의 뇌과학 책에서 흔히 주장하는 파충류의 뇌, 포유류의 뇌, 인간의 뇌 라고 불리는 삼위일체 뇌 설에 대한 반박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삼위일체 뇌 설은 생존의 본능을 담당하는 파충류의 뇌(복합체) 감정의 본능을 담당하는 포유류의 뇌(변연계) 이성과 고차원의 사고를 담당하는 인간의 뇌(신피질) 이렇게 나뉘어있다고 주장했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이 가설을 믿어왔다. 그런데 최근 뇌과학 연구로 밝혀진 결..

Numpy와 pandas 1 numpy에 대해 numpy C를 기반으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로 Numerical Python의 줄임말이다. 파이썬에서 과학적 계산을 위한 핵심 라이브러리로 다차원 배열 객체와 이들의 계산을 위한 다양한 도구들을 제공한다. import numpy as np와 같은 방식으로 많이 호출한다. # 배열(ndarray) : 다차원 배열객체 - np에서의 각 위치의 자료는 모두 같은 자료형이어야 한다. - np.array(컬렉션) 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 .dtype을 통해 각 데이터의 자료형을 알 수 있다. # 배열과 리스트의 큰 차이점. - 모든 원소가 같은 자료형이다. - 원소의 개수를 바꿀 수 없다. - 파이썬은 자체적으로 배열 자료형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numpy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