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ONGPROJECT

[DAY26] Rest API와 Flask 본문

Challenge/FASTCAMPUS 30일 챌린지

[DAY26] Rest API와 Flask

JAMONGPROJECT 2023. 3. 17. 07:43


Rest API와 Flask

 

 

1 Rest api

API란?

 

개인적으로 사전적 정의는 너무 모호하게 표현해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로 내가 사용해보고 느낀 것을 바탕으로 정의해봤다.

API란 어플리케이션(기능을 가진 제작물) 간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론

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어플과 B어플이 있으면

A와 B가 어떤 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지 합의한 규칙이다.

 

파이썬에서 클래스, 함수 같은 것도

컴퓨터와 파이썬이라는 언어 간에

정보 전달을 하기위해 정해진 규칙이다.

 

이런 식으로 모든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내가 예전에 API 정의를 찾아본다고 온갖 문서들을 다 찾아봤는데

하나도 제대로 와닿는 설명이 없었다.

다들 설명을 좀 못하는 것 같다..

 

 

Rest API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정보전달.

예를들면, 파이썬의 list나 dictionary 등(자원)을 json 파일의 형태(표현)으로 전달하는 것.

 

즉, Rest API는 Rest라는 규칙을 지키는 API를 말한다.

 

 

Rest의 구성요소

자원(Resource) : URI 인터넷 주소와 같은 형식
행위 : HTTP 메소드 GET / POST / PUT / DELETE
표현 : Representation of Resource JSON, XML, RSS 등

 

 

REST API를 사용하면 얻는 이점

1. 통합 

API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기존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면 각 기능을 처음부터 작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발 속도가 빨라집니다. API를 사용하여 기존 코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혁신 

 

새로운 앱의 등장으로 전체 산업이 바뀔 수 있습니다. 기업은 신속하게 대응하고 혁신적인 서비스의 신속한 배포를 지원해야 합니다. 전체 코드를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API 수준에서 변경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확장

 

API는 기업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고유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지도 API를 사용하면 웹 사이트, Android, iOS 등을 통해 지도 정보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 어느 기업이나 무료 또는 유료 API를 사용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유사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4. 유지 관리의 용이성

 

API는 두 시스템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합니다. API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각 시스템은 내부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한 시스템의 향후 코드 변경이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http://bit.ly/3Y34pE0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수강료0원챌린지 #환급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캠인강후기 #패스트캠퍼스후기 #오공완

#한번에끝내는컴퓨터공학전공필수&인공지능심화초격차패키지Online

'Challenge > FASTCAMPUS 30일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28] 컴퓨터시스템 개요  (0) 2023.03.19
[DAY27] REST API와 FLASK  (0) 2023.03.18
[DAY25] numpy와 pandas  (0) 2023.03.16
[DAY24] Numpy와 pandas  (0) 2023.03.15
[DAY23] DB연동과 정규식  (0) 2023.03.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