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ONGPROJECT
[DAY30] 컴퓨터시스템 개요 본문
시스템의 구성
시스템 버스란?
CPU, I/O 장치, 기억 장치들을 연결해 주는 중심 통로이다.
하드웨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역할.
각 장치들이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해 준다.
데이터 버스
CPU와 기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
기억장치와 I/O 장치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CPU로 보내거나 연산 결과를 기억장치와 I/O로 보낸다.
데이터 버스의 크기는 CPU가 한 번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와 같다.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기 때문에 양방향 버스이다.
주소 버스
CPU가 주기억 장치나 I/O 장치로 기억장치 주소를 전달하는 통로.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소를 정해줘야 한다.
주소 버스는 주소를 전달만 하기 때문에 단방향 버스이다.
예) 프로세서에서 001010010이란 위치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 뿐만 아니라 목적지인 001010010도 주소 버스를 통해서 보낸다.
주소 버스의 비트 수는 기억장치의 주소 수를 결정.
2^8 = 256개
2^16 = 65,536개
제어 버스
데이터 버스와 주소 버스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통로
제어 버스는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모두 수행하기 때문에 양방향 버스이다.
- 기억장치 쓰기 신호 :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주소가 지정하는 기억장소에 저장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
- 기억장치 읽기 신호 : 주소가 지정하는 기억장소의 내용을 읽어서 버스에 실리게 하는 제어 신호
- I/O 쓰기 신호 :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지정된 I/O 장치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 신호
- I/O 읽기 신호 : 지정된 I/O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 버스에 실리게 하는 제어 신호
FASTCAMPUS 30일 챌린지 후기
드디어 30일 챌린지 마지막 날이다. 감격스럽다...
솔직히 글 올리고 사진 찍는 부분은 최적화해서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매일 공부한다는 일이 쉽지 않았다.
단거리 달리기처럼 집중해서 바짝 하는 것보다
매일매일 스트레스받지않고 공부를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다보니
수능 공부하듯이 하는건 힘들었지만
매일 공부하고 글을 쓰고 인스타에 피드도 남기고 하면서
나의 흔적을 남기는 시간들이 매우 값진 시간이었다.
다음에도 이런 기회가 있다면 꼭 참여하고싶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수강료0원챌린지 #환급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캠인강후기 #패스트캠퍼스후기 #오공완
#한번에끝내는컴퓨터공학전공필수&인공지능심화초격차패키지Online
'Challenge > FASTCAMPUS 30일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29] 컴퓨터시스템 개요 (0) | 2023.03.20 |
---|---|
[DAY28] 컴퓨터시스템 개요 (0) | 2023.03.19 |
[DAY27] REST API와 FLASK (0) | 2023.03.18 |
[DAY26] Rest API와 Flask (0) | 2023.03.17 |
[DAY25] numpy와 pandas (0) | 2023.03.16 |